서비스 기획의 4대 요소1. 최종 고객최종고객 : 페르소나 가설 → 검증 최종 1인 2. 문제 리스트고객들이 현재 겪고 있는 불편함 → 니즈파악질문문제만 해결한다 → 가치가 떨어짐 ⇒ 경쟁사도 많음가장 많은 고객이 겪고 있는 불편함 한 가지 선정 → 왜 발생했을까? => depth 있게 바라본다===> 문제점 도출 => 솔루션 제시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은 다르다. ex. 산에 나무들이 심어져 있다.한 나무가 썩었다.- 썩은 나무만 벤다?- 전체를 방역한다?=> 전부 일반인 관점 왜 이 나무가 썩었지?에 대해서만 파악하면 됨. 일반인 관점으로 문제만 해결하면 문제는 계속 반복된다.3. 문제점 도출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문제점을 해결한다 → 필수 → Needs Point ⇒ 서비..
정책안고객이 접하는 정책안ex)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약관 동의 ⇒ 전문 정책안을 쉽게 바라보자놀이 → 서비스규칙 → 정책ex. '소꿉놀이' -> 서비스소꿉놀이의 규칙 -> 정책 정책안 작성 순서기획자 : 초안을 만듦 → 법무팀, 변호사 자문 → 검토 후 완성=> 기획자는 초안 작성만 할 줄 알면 된다. 영상 보기https://youtu.be/dEK3QYX_P0U?si=uxnT09WkU74rOEU4 크리에이터의 솔루션UX를 활용 => tnlqek.직관적재미가 있음정책안의 종류내부적 정책안팀 내부에만 적용되는 기획안 외부적 정책안공개적인 정책안 정책안 종류이용약관서비스이용약관환불약관회원 정책안 https://www.law.go.kr/법령/개인정보보호법결제에 관한 정책데이터 활용에 대한 정책심사정책위치정..
기획안혼자 : 생각을 정리하는 용도2인 이상 : 싱크를 맞춘다 소통>=> 한께 일하는 사람들이 동일한 생각의 결을 갖고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우리의 서비스의 어떤 기능을 A라고 칭하자-> A라고 하면 동일한 기획안을 보고 있는 사람들은 어련히 A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잘 만든 기획안이란?팀 내부적으로 싱크를 맞출수있는 방법이 녹여져 있는 기획안 인하우스 기준의 기획안들PRD : 제품을 만들거나 업데이트하기 위해 기능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요구사항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문서IA : 웹∙앱 구축 시 필요한 화면과 메뉴의 정보 구조를 설계 및 정의하는 문서정책안flowchart고객의 시나리오 설계기능정의서화면정의서 등 적어도 기획안은 기획자 + 개발자 까지는공통적으로 알고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
절차가설 -> 검증 -> 업데이트 (페르소나)설문조사 답변 가공오프라인직접 가서 인터뷰를 한 다음에 그 결과를 그대로 적는 것이온라인리워드를 제공해서 참여시킨다. 원본 데이터는 함부로 다루면 안 된다.그래서 원본은 그대로 두고 사본을 만들어 가공한다. 1) 불필요한 데이터 삭제타임스탬프, 고객의 이메일 등 2) 페르소나에 해당하지 않은 고객 데이터 삭제ex. 우리 서비스는 교육을 받은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건데, 교육을 안해봤던 사람들이라면 -> 그 사람들 데이터는 삭제한다. 3) 대표성 추출"데이터에서 차은우를 추출하면 안 된다." - 가장 연관성이 높은 데이터- 가장 모수가 많은 데이터- 가장 공통점이 많은 데이터 주로 모수와 공통점 순으로 데이터를 한다. # 고객의 나이 구하는 방법..
비즈니스 모델상대방들과의 가치관계도 기업이 가치를 창출하고 전달하며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체계적인 개념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고, 그 과정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를 정의하는 개념 비즈니스 기획 : 서비스 기획 + A의 VA가 B에게 V1(B의 상대적 가치)를 주고 V2(A의 상대적 가치)를 받는다 비즈니스 모델 예시 - 서로 상부상조- 여기서 기획 실무 노하우의 가치와 브랜드 가치 상승의 가치는 동등(밸런스 동일) 해야 한다.- Value를 주고받으니 돈이 돈다. 결국 돈은 따라오는 것. 주요 구성 요소1. 고객 세그먼트(Customer Segments)기업이 가치를 제공하는 특정 고객 그룹을 정의.- 예: 청소년, 전문직 종사자, 소규모 기업 등. 2. ..
가설 검증의 단계- 가설(추측고객, 페르소나 1차) → 검증 → 업데이트 검증 방법1. 직접 조사1) 직접적인 컨택으로 조사를 진행한다.2) 대면 인터뷰3) 오프라인 채널 → 몇 명? : 20명 이상=> 최소 40명 정도는 해야 한다.통계학에서 신뢰성 얻는 모수는 16서울대 수의학과는 23으로 잡고 논문을 작성한다. 장점과 단점- 장점 : 메타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즉각적인 피드백 수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가장 시각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 => "눈" *그런데 왜 하는 걸까? ex. 크리에이터 수강생의 공통점? 현재는 모른다.그런데 실제 만나면?공통적인 것을 파악할 가능성이 높아짐 즉, 오프라인 설문조사에서 더 깊은 것을 얻어갈 확률이 커짐. - 단점 : 공간적, 시간적 제한사항이 있다..
애자일 : 빠르게 반영하는 프로젝트 관리법기간 : 1개월 ~ 3개월잘못된 방법K 애자일 : 워터폴을 빠르게 돌린다.=> 시스템은 안 바뀜. 애자일 선언프로세스와 도구보다는 개인과 상호작용을 중시한다.포괄적인 문서화보다는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를 중시한다.계약 협상보다는 고객과의 협력을 중시한다.계획을 따르기보다는 변화에 대응하는 것을 중시한다. 수평적 회사는 존재할 수 없다. why? 나와 대표님이 같을 수 있는가? No. 수평적 구조 → 민주주의의 다수결 원칙으로만 진행이 되어야 함.=> 그런데 회사는 이렇게 하면 망한다.- 30명 넘어가면서부터 파벌싸움이 발생한다.- 암묵적인 조직 형성(잘 드러내지 않음) 결국 수평적 구조는 불가능하고, 리더가 있어야 한다.리더 : 이끄는 사람보스 : 책임의 우두머리ex..
조직 운영법워터폴(Waterfall):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선형 모델로, 이전 단계가 완료된 후에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방식시스템 중심상하구조거래가 발생한다. 받은만큼 보상을 해주어야 하기 때문우리는 회사랑 근로 계약을 했으므로, 갑을관계가 만들어짐.진행기간 : 6개월 ~ 1년장점 : 누구나 시스템을 쉽게 이해한다. 역할(구조)이 분명하다. 문서화, 일관단점 : 즉각적인 수정반영이 어려움, 억지스럽게 기획이 생김(장기 계획 의존), 인력리소스 낭비 회사 운영에서 워터폴을 하게 되면 위쪽이 편하다.육체노동을 하지 않음 워터폴의 프로세스요구정의기획디자인개발QA런칭 / 업데이트이런 맹점이... 극한의 효율을 목적으로, 프로젝트를 여러게 한꺼번에 돌린다.=> 궁극적으로, 과부하가 필연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