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Bean) - 애플리케이션에서 빈(Bean)이라는 이름으로 객체를 미리 생성해놓고 돌려쓰는것을 얘기한다. (한번만 생성하고 쓰레드들이 다같이 쓴다. = 싱글톤) 즉, 스프링앱에 여러 번 빈을 요청하더라도 매번 동일한 객체를 돌려준다는 것이다. (스프링이 빈을 관리한다.) 이유 :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컨테이너) 가 싱글톤으로 빈을 관리하는 이유는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메모리는 한정적이기 때문) 컴포넌트(Component) : 개발자가 직접 작성한 Class를 Bean으로 등록한 것 (Bean 과 동일하게 한번만 생성하고 쓰레드들이 다같이 쓰게 하려고) **@Component** 는 개발자가 지금 개발중인 직접 컨트롤이 가능한 클래스들의 경우 Bean으로 등록하기 위해 사용된..
유의사항 Entity를 그대로 반환하지 말고, DTO에 담아서 반환해주세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느슨하게 결합하는 환경이 ”최근에는” 더 일반적이라고 말씀드렸죠? 앞으로 남은 강의 예제와 실습에서는 html/css/js 즉 뷰도 같이 반환 하겠지만, 과제에는 여러분들이 서버 로직에 더 집중하실 수 있도록 JSON을 반환하는 API형태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눈으로 직접 확인 할 수 있었던 view와는 다르게, 여러분들이 과제를 진행하시려면 서버가 반환하는 결과값을 더 쉽게 확인 하실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바로 PostMan 입니다. 사용법은 아래 페이지에서 꼭 확인해주세요! 수행해야 하는 내용 아래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Use Case 그려보기 손으로 그려도 됩니다. cf. https://naru..
# DTO는 Data Transfer Objection이다. # Entity는 핵심이고, Dto는 조수같은 느낌이다. # Dto는 계층간의 Data를 전달할 수 있는 Data 바구니 같은 것. Entity는 (이 서비스의) 핵심 요소. # 그래서 일단, 역할의 중요도 자체가 아예 다르다. # 모든 서비스는 Entity 중심으로 돌아가고, Dto는 단지 계층 간의 Data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보조 장치 # Dto는 계층을 이어주는 친구다. # 한 서비스는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로 이어지긴 하지만, 각 계층은 원래 독립된 존재. 서로 의존하면 안 된다. # 이 말은 어떤 서비스가 운영될 때, 이전 서비스에서 뱉은 것을 기반으로 다음 걸 만들면 안된다는 뜻. # ..
redirect: - URL로 리다이렉트 (리다이렉트는 완전히 새로운 URL로 요청이 된다.) forward: - URL로 포워드 (포워드는 기존 요청 값들이 유지된 상태로 URL이 전환된다.) 모듈 :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기능단위로 분해하고 추상화 되어 재사용 및 공유 가능한 수준으로 만들어진 단위 모듈화 :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시스템의 디버깅, 시험, 통합 및 수정을 용이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설계 기법 1. 일반적으로 모듈 이란? 보다 작고 이해할 수 있는 단위로 나뉘어진 것 본체에서 분리되어 작은 부분으로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가, 필요할 때 본체에 합류하여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 통상, 그 자체로 하나의 완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독립된 실체로 봄 2. 문제를 다룰 때 ..

DB 특강 실습 내용 정리# mysql 접속 (커맨드창)mysql -uroot -p> 비밀번호 입력# 데이터베이스 확인SHOW DATABASES;# mysql 데이터 베이스 USE mysql; # 선택된 데이터베이스 확인SELECT DATABASE();# 현재 유저 확인SELECT USER();# user 테이블 살펴보기SELECT Host, `User` FROM USER; # sparta 계정 삭제 (sparta 계정 있을시)DROP USER sparta@localhost;# 사용자 추가CREATE USER 'sparta'@'localhost' identified BY '12345678';# 패스워드 정책 에러시(mysql8)set global validate_password.policy=LOW;# 데..

https://m.blog.naver.com/gongtong/150135598792 출처 관계 타입 유형 (1) 1 : 1 관계(일 대 일) 개체 집합 A의 각 원소가 개체 집합 B의 원소 1개와 대응 (한명의 교수는 한과목만 강의 하고, 한개의 과목은 한명의 교수에 의해 강의되어진다.) (2) 1 : N 관계(일 대 다) 개체 집합 A의 각 원소는 개체 집합 B의 원소 여러 개와 대응할 수 있고, 개체 집합 B의 각 원소는 개체 집합 A의 원소 1개와 대응 (한학과에는 여러명의 학생이 있을 수 있고 한학생은 한개의 학과에 소속 된다.) (3) N : M 관계(다 대 다) 개체 집합 A의 각 원소는 개체 집합 B의 원소 여러개와 대응할 수 있고, 개체 집합 B의 각 원소는 개체 집합 A의 원소 여러 개와..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란? 데이터베이스를 한 마디로 정의하면 ‘데이터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일상생활 대부분의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된다. DBMS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의 집합’이라고 정의한다면, 이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를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라고 한다.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명의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과 공유하고 동시에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DBMS의 분류 계층형 DBMS 망형 DBMS 관계형 DMBS 관계형 DBMS(Relational DBMS)는 줄여서 RDBMS. MySQL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DBMS가 RDBMS 형태로 사용된다. RDBMS의 데이터베이스는 테이..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의 집합 * R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 Database Server - 데이터베이스 역시 프로그램이다. 서버 끼리도 당연히 통신이 가능하다. SQL - Structured Query Language - RDBMS에서 사용하는 언어. : 수많은 정보를 Database에서 조작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SQL 언어를 사용함. DDL - ‘Data Definition Language’ 의 약자로 테이블이나 관계의 구조를 생성하는데 사용 CREATE :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및 테이블을 생성해 줌.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이름; CREATE TABLE 테이블이름 ( 필드이름1 필드타입1, 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