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담당자 구분을 하는 이유
화면 설계 작업을 할 때 각 영역별로 담당자가 명확히 나뉘어야 업무 효율성과 정확도가 높아진다.
상품/전시 담당자
우선 메인 페이지를 포함한 메인 그룹은 기본적으로 상품을 전시하는 목적이 강하기 때문에 상품 전시 담당자가 맡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카테고리, 기획전, 이벤트 등으로 구성된 프로덕트 그룹도 마찬가지로 상품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상품 전시 담당자가 설계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이와 더불어 검색(Search) 영역 또한 결과 화면이 상품 목록과 동일한 구조를 따르므로 상품/전시 담당자의 업무 영역에 포함시키는 것이 맞다.
회원/CS 담당자
회원가입, 로그인, 마이페이지, 고객센터 등은 회원 데이터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기능들이므로 회원/CS 담당자가 맡는 것이 효율적이다. 특히 고객센터는 회원 정보를 기반으로 문의와 답변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연관성을 고려할 때 회원/CS 파트가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사 소개(컴퍼니) 관련 메뉴도 CS 성격이 강해 이들과 함께 관리하는 것이 좋다.
주문/결제 담당자
장바구니 이후부터 구매 이력까지 이어지는 흐름. 즉, 장바구니, 주문서, 주문 완료, 구매 내역은 주문 및 결제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문/결제 담당자가 설계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인원이 많은 경우나, 규모가 큰 경우 또는 작업량이 많은 경우
전시 담당자를 2명으로 나누는 방식을 추천한다.
예를 들어 한 명은 메인 그룹과 프로덕트 그룹의 카테고리, 베스트 등을 맡고, 다른 한 명은 검색, 기획전, 이벤트 등을 전담하는 형태로 분담하면 보다 효율적인 협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역할 분담은 각 담당자가 기능에 대한 전문성과 맥락을 유지하면서도 전체 프로젝트의 완성도와 생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면 설계서의 타입 (0) | 2025.03.22 |
---|---|
화면설계 (4) 디스크립션 (0) | 2025.02.14 |
화면설계 (3) 레이아웃 작성 Tip (0) | 2025.02.13 |
화면설계 (2) 작성 포인트 - 좋은 화면설계서란? (0) | 2025.02.12 |
화면설계 (1) 개요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