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개별 작업을 어떠한 방식으로 하는 게 좋을까?

- 프론트라고 했을 때 상품 전시/회원 CS/주문 결제 단위로 영역을 구분하는 게 가장 좋은 방식.

- 그 이유는 연관성 때문에. 만약에 100페이지가 있는 사이트가 있다고 쳤을 때 메인 페이지 기획전 상세했다가 회원 가입으로 만든다면 굉장히 연관성이 떨어질 것. 효율도 안 난다.

- 그러니까 연관성이 높은 것들끼리 묶어줘야지만 그 사람의 퍼포먼스가 지속력과 퍼포먼스 좋아지기 때문에 그것들을 묶어줘야 된다.

 

 

일반적으로 정보구조의 내비게이션 그룹을 기준으로 담당자를 배치한다.

 

 

정보그룹이란?

성격이 유사한 정보의 유형을 다섯개 기준으로 나눠서 정리하여 일하는 것

Main / Product / Search / Utility / Company
상품/전시 담당, 회원/CS 담당, 주문/결제 담당

 

- 위의 강조 표시처럼, 정보그룹은 다섯개로 분류하고, 담당자는 위처럼 3개분야 담당으로 나눈다.

 

담당자 구분 방법

1. 상품 전시 담당자

- 메인 그룹: 메인 페이지 등 → 상품 전시 성격이 강하므로 전시 담당자

- 프로덕트 그룹 : 카테고리 / 기획전 / 이벤트 → 모두 상품 성격이 강하므로 전시 담당자

- Search (검색) : 검색결과 페이지 → 목록 형태와 일관성이 높아 전시 담당자

 

 

2. 회원/CS 담당자

- 유틸리티 영역 : 회원가입, 로그인, 마이페이지, 고객센터 → 회원 데이터와 밀접, 고객 문의와 연결되므로 회원/CS 담당자

- 컴퍼니(회사 소개 등): -> CS 성격과 연관 깊어 회원/CS 담당자에게 적합

 

 

3. 주문/결제 담당자

- 장바구니 이후 단계 : 장바구니 목록, 주문서, 주문서 작성 완료, 구매 이력 → 결제 및 구매 흐름 중심이므로 주문/결제 담당자

 

 

728x90
반응형
Comments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25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