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기획]

화면설계 (1) 개요

완벽한 장면 2025. 2. 12. 00:50

화면 설계 개요 및 필요성

1. 실제 구현될 화면의 구성요소/기능에 대한 가이드 제공

2. 요구사항 및 개선사항이 반영되었는지를 사전 체크

3. 시뮬레이션을 통한 사용자 불편 요소를 미리 찾아냄

 

=> 대부분의 모바일 패턴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가지며, 긴 형태의 슬라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화면 설계서 제작 방식 : PPT vs Figma / XD

- 피그마(Figma) 또는 XD(Xperience Design)로 UI를 설계한 후, PDF로 출력하여 제공

- 또는 PPT(파워포인트) 도형을 활용하여 설계 후 PDF로 변환

⇒ 결국, 최종적으로 하나의 PDF 파일로 출력하는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 PPT 사용 시: 인수인계가 쉽고 도형 수정이 간편함
  • 피그마 / XD 사용 시: UI 설계가 직관적이고 프로토타입 기능 활용 가능

> PPT는 디자인과 기능을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여전히 많이 사용되고 있다.

> 반면, 피그마와 XD는 직관적인 UI 설계가 가능하지만, 수정할 때 다시 툴을 열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인하우스 vs. 에이전시

- 인하우스(In-house): 피그마 활용 가능 (조직 내에서 자유롭게 툴 사용 가능)

- 에이전시(Agency): PPT 활용이 일반적 (고객사가 PPT로 인수인계를 원하기 때문)

 

에이전시에서 PPT를 주로 사용하는 이유

-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PPT로 문서를 제출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 피그마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객사를 고려하여 운영팀에서도 수정할 수 있도록 함

- 현재 에이전시는 90% 이상 PPT를 사용

- 인하우스는 PPT와 피그마를 반반 정도 사용

 

📌 대기업에서 피그마 사용이 어려운 이유

- 대기업 보안 규정상, 내부망에서 피그마 사용이 제한됨

- 설치형 XD는 내부망에서도 사용 가능하므로 XD를 선호하는 경우가 있음

- 반도체 업계처럼 보안이 엄격한 환경에서는 인터넷 접근 자체가 차단됨

 

대기업에서 XD 사용 사례

- XD로 UI 설계를 진행한 후, 이를 화면 설계서에 붙여 설명

- 고객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PDF 또는 PPT 형태로 전달

 

 

 

 

728x90
반응형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면설계 (3) 레이아웃 작성 Tip  (0) 2025.02.13
화면설계 (2) 작성 포인트 - 좋은 화면설계서란?  (0) 2025.02.12
백오피스 기획  (0) 2025.02.07
정보구조와 카테고리 관리  (0) 2025.02.07
리서치 리포트  (2) 2025.02.06
Comments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250x250